한국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해 미뤄졌던 시진핑 연내 방한을 위한 준비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고 알려졌습니다.
이르면 오는 9월이나 늦어도 11월에는 시진핑 주석의 방한이 성사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주식 시장에서는 이 때문에 화장품 등의 중국 소비주가 크게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와 관련해 한한령해제 관련주 로 분류된 기업들 역시도 함께 부각되고 있는데요.
한한령해제 관련주 에 화장품 관련 테마가 속해 있는 만큼 해당 테마군을 위주로 투자처를 살피는 투자자들이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난 사드 사건 이후로 중국 내에 내려진 한한령은 많은 부분에서 우리나라 기업에 부정적 영향을 끼쳤는데요.
특히 여행 산업 분야가 크게 타격을 받았고 화장품 관련 분야 역시 중국 수출길이 한동안 막히기도 했습니다.
시진핑 주석의 본격적 방한 전에 투자를 고려하는 이들은 한한령해제 관련주 에 주목하고 있는데요.
이 때문에 오늘은 한한령해제 관련주 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LG생활건강입니다.
생활용품이나 화장품 등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잇는 기업으로, LG화학에서 분할 설립된 기업입니다.
국내 화장품 시장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고 대표적인 화장품 관련 테마군에 속해 있기 때문에 한한령해제 관련주 중 대표격으로 움직이는 기업입니다.
아모레퍼이픽입니다.
화장품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고, 국내를 대표하는 화장품 기업으로 손꼽히는 곳이기도 합니다.
화장품 관련 테마 중에서 대장주로 주목 받기 때문에 이번 한한령해제 관련주 로도 부각되는 기업입니다.
대표 브랜드로 설화수, 헤라, 에뛰드 등이 있습니다.
에이블씨엔씨입니다.
화장품 제조 사업을 진행하는 기업으로 이밖에도 생활용품 제조 등의 사업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화장품 유통판매 사업을 진행하는 에이블씨엔씨는 미샤, 어퓨, 미팩토리 등의 화장품 브랜드를 보유 중입니다.
한국화장품제조입니다.
화장품제조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으로, 기초나 색조에 상관 없이 1600여 종이 넘는 다양한 분야의 화장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한국화장품 등을 포함한 다섯개의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일본 불매운동 당시 화장품 분야의 수혜주로 주목 받기도 했습니다.
코스맥스입니다.
화장품 연구개발과 생산을 전문적으로 진행하는 기업입니다.
화장품 OEM사업을 진행하는 모스맥스는 국내외의 600여개 브랜드에 화장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MP한강입니다.
호주 화장품 브랜드인 Red Earth의 국내 판매를 비롯해 수입 코스메틱 브랜드 국내 독점 공급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키스미나 캔메이크 등의 해외 브랜드를 국내에 입점시키는 등의 다양한화장품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기업이기도 합니다.
지금까지 한한령해제 관련주 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출처] 한한령해제 관련주 시진핑 방한, 수혜주는?|작성자 주식정보나누미
댓글 영역